J Korean Orthop Assoc. 2023 Apr;58(2):133-140. Korean.
Published online Apr 14, 2023.
Copyright © 2023 by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Original Article
퇴행성 경추 골극에 의한 방사통 환자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신경근차단술의 효과
권영호, 장지훈 김창수
Clinical Outcomes of Ultrasound Guided Transforaminal Root Block in Cervical Spondylotic Radiculopathy Caused by Osteophytes
Young-Ho Kwon, M.D., Jihoon Jang, M.D. and Chang Su Kim, M.D.
    • 고신대학교복음병원 정형외과
    •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sin University Gospel Hospital, Busan, Korea.
Received September 28, 2022; Revised November 04, 2022; Accepted January 26, 2023.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하부 경추의 퇴행성 추간판 변성으로 인한 골극으로 신경공 협착에 의해 발생하는 상지 방사통 환자를 대상으로 초음파를 이용한 추간공 신경근차단술 후 추시 경과 및 그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2016년 1월부터 2021년 1월까지 경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인한 상지 방사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 140명 중 약물 및 보존적 치료에 호전이 없었던 73명에게 초음파 유도하 추간공 신경근차단술을 시행하였다. 그 중 퇴행성 경추 골극에 의한 방사통으로 확인된 46명과 연성 추간판 탈출증 27명을 대상으로, 6주 후 추시하여 통증의 호전이 50% 이상 없을 경우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50% 이상 호전이 있는 경우에서 환자가 원할 경우 2–3차례 추가 시술을 시행하였다. 효과 평가는 시술 전, 시술 후 1주 및 시술 후 12주 때 통증호전 정도와 경부 기능적 향상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시술 과정과 직후, 다음 날까지 발생한 부작용을 조사하여 시술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퇴행성 경추 골극에 의한 방사통 환자군에서 통증호전은 시술 전 6.16점에서 시술 후 12주 2.80점으로 감소하였으며, 시술 후 증상의 재발 및 악화된 환자수 19명(41.3%), 증상 재발현 시점 평균 17.41주, 경추 전방고정술 시행 환자 5명(10.9%)으로 최종 추시까지 41명(89.1%)에서 수술을 시행하지 않고 호전되었으며, 이 중 24명(52.2%)은 추가적으로 보존적 치료를 받았다. 연성 추간판 탈출증 환자군에서 통증호전은 시술 전 6.31점에서 시술 후 12주 2.79점으로 감소하였으며, 시술 후 증상의 재발 및 악화된 환자수는 9명(33.3%), 증상 재발현 시점은 평균 11.65주, 경추 전방고정술 시행 환자는 1명(3.7%)이었다.

결론

퇴행성 경추 골극에 의한 상지 방사통 환자에서 신경근차단술은 통증증상의 재발이 많고, 수술적 치료의 비율이 높으나, 연성 추간판 탈출증 환자군과 같이 통증에 유의한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퇴행성 경추 골극으로 인한 방사통 환자에서 초음파하 추간공 신경근차단술은 고려할 수 있는 보존적 요법 중 하나로 판단한다.

Abstract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follow-up progress and the usefulness of treating transforaminal nerve root block using ultrasound in patients with cervical radiculopathy caused by the osteophytes of spondylosi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16 to January 2021, among 140 patients who presented with cervical radiculopathy, 73 who did not improve with conservative treatment were treated with an ultrasound-guided transforaminal nerve root block. The subjects comprised 46 confirmed cases of spondylotic radiculopathy caused by osteophytes and 27 cases of soft disc herniation. Surgical treatment was performed if the pain did not improve by more than 50% after a six-week follow-up. If 50% or more improvement was achieved, additional procedures were performed an extra two–three times at the patient’s discre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cedure was examined by measuring the degree of pain and functional improvement before, after, and 12 weeks after the procedure. The safety of the procedure was evaluated by examining the side effects that occurred during, immediately after, and the day after the procedure. Additional procedures or surgeries were checked at the last follow-up of more than one year.

Results

Among patients with cervical spondylotic radiculopathy, the degree of pain decreased from 6.16 to 2.80. Nineteen patients (41.3%) showed symptom recurrence, and the average recurrence duration was 17.41 weeks. Five patients (10.9%) underwent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Until the final follow-up, 41 patients (89.1%) improved without surgery, and 24 (52.2%) received additional conservative treatment. Among soft intervertebral disc herniation, the degree of pain decreased from 6.31 to 2.79. Nine patients (33.3%) showed symptom recurrence, and the average recurrence duration was 11.65 weeks. One patient (3.7%) underwent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Conclusion

In patients with cervical spondylotic radiculopathy caused by osteophytes, a transforaminal root block showed significant pain improvement similar to soft intervertebral disc herniation. Therefore, ultrasound-guided transforaminal root block can be considered a conservative treatment method for patients with cervical spondylotic radiculopathy caused by osteophytes.

Keywords
cervical vertebrae; osteophyte; radiculopathy; anesthesia epidural; ultrasonography interventional
경추; 골극; 방사통; 경막외 마취; 초음파 하 시술

서론

경추 추간판 탈출증에 의한 상지 방사통은 흔한 질환 중에 하나이다. 섬유륜 밖으로 수핵의 탈출로 인한 연성 추간판 탈출증(soft disc) 외에도, 요추부와 다르게, 구추관절(uncovertebral joint)에 골극(osteophyte)에 의한 추간공 협착증도 있다. 대게 추간판 탈출증의 양상에 따른 경과는 구분되지 않았으나, 자연경과상 4–6개월까지 호전되고, 완전히 회복되는 기간은 2년에서 3년까지 걸린다고 하였다.1) 그러나 퇴행성 경추 골극에 의하여 신경공 협착으로 발생한 방사통에 대해서 보존적 치료의 경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연성 추간판 탈출증에 비하여 퇴행성 경추 척추증에 의한 방사통은 평균 연령이 높으며, 전반적인 추간판에 퇴행성 변화의 정도가 심하다. 또한 여러 분절의 문제로 임상양상이 다양하며, 증상에서 연성 추간판 탈출증에 비교하여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며, 그 예후 또한 나쁠 것으로 예상된다. 과거 만성 경과를 보였던 증상에 따른 연구를 확인하면, Sampath 등2)은 2년 이상의 증상을 가지고 있던 환자를 추적한 결과 33.0%에서 수술적 치료의 경과를 보였다고 하였다. 최초 1년 이상의 기간 동안 통증을 호소했던 환자의 경우에서 보존적 치료 후 장기 추시상 50.0% 이상에서 불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3)

퇴행성 경추증의 방사통에 신경근차단술은 증상완화 효과를 보이며,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거나, 혹은 부분마취제(local anesthetics)만을 적용하여도 6주까지 추시상 시술 전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통증 완화 효과를 보였다.4) 따라서 근력저하가 없고, 중추신경증세가 없는 추간판 탈출증에서 방사통을 호소할 경우 급성통증을 조절하기 위해, 경추 신경근차단술은 좋은 선택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경추부 신경근차단술은 비교적 많은 중증 합병증을 보고하였으며.5) 초음파를 이용한 신경근차단술은 도플러를 이용한 혈관탐색으로 주변의 미세혈관까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주사에 따른 합병증의 빈도를 낮출 수 있다.6)

이에 본 연구는 퇴행성 경추 골극에 의해 발생한 상지 방사통 환자를 대상으로 3주 이상의 보존적 치료에 반응이 없었을 때, 초음파를 이용한 선택적 신경공 경막외 주사요법을 시행하였다. 치료적 유용성과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통증의 변화 정도 및 경추 부위의 통증으로 일상생활 장애 평가를 위해 경부장애지수(neck disability index, NDI)를 측정하였다. 예후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연성 추간판 탈출증과 비교하였으며, 증상의 재발률 및 수술 빈도를 확인하고, 초음파를 이용한 차단술의 합병증 빈도를 측정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진료기록지 확인 및 전화 추시를 통한 후향적 연구이며,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임상연구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승인(IRB no. 200205042)을 받았다. 2016년 1월부터 2021년 1월까지 경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인한 3주 이상의 상지 방사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140명에서 약물치료 및 보존적 치료에 호전이 없는 73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효과 크기는 0.8, 유의수준 0.05 (α), 검정력 95%로 설정하여 샘플 크기를 계산한 결과, 최소 샘플 사이즈는 70으로 적절한 수의 증례수로 판단된다. 시술 전 세심한 병력청취 및 혈액검사를 통해 출혈이나 감염의 가능성이 없는 환자에게 초음파 유도하 선택적 신경근차단술을 시행하였다. 영상의학적 검사와 환자의 임상적 증상이 일치하지 않는 환자는 대상에서 제외하였고 경추의 외상이나 견관절부 병변이 동반된 경우, 기타 퇴행성 병변으로 수술을 받은 과거력이 있는 환자와 경추 척추관 협착증이나 후종인대 골화증 등으로 경추 척수증이 진행된 환자, 퇴행성 변화로 인한 분절 불안정성이 있는 환자도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그 외에도 추시 기간 중 이전에 복용하지 않던 추가적인 통증 조절 약물을 복용한 경우와 타 병원에서 추가적인 주사요법을 시행받은 경우는 결과 판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제외하였다(Table 1).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퇴행성 골극으로 신경공 협착에 의한 방사통 환자와 연성 추간판 탈출증은 두 명의 진단 방사선과 의사들의 판독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척추 전문의의 시술 전 확인에 의해 이루어졌다.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이나 X-ray상에서 환자의 임상증상에 해당하는 분절의 구추관절에 골극이 확인되고,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의 T1, T2 영상상 저신호강도(low signal intensity)로 골극 부위가 확인될 때를 기점으로 하였다. MRI상에서 수핵의 탈출이 확인되고(T2 영상상 중-고신호강도[T2 sequence에서 intermediate–high signal]), X-ray, CT에서 골극을 확인할 수 없을 때, 연성 추간판 탈출증으로 분류하였다(Fig. 1, 2).

Figure 1
A 56-year-old male with C6 radiculopathy showed a pain reduction with a visual analogue scale of six before the procedure to two at 12 weeks after the procedure. (A, B) Anteroposterior and lateral X-rays show C5/C6 degenerative spondylosis. (C) Axial T2-weighted image (C5/6 leve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s narrowing of the left neural foramen with a structure with low signal intensity (hard disc). (D) Ultrasound-guided selective nerve root block (target nerve root was left C6). The arrowheads, point to the needle; P, posterior tubercle of the C6 transverse process; A, anterior tubercle of the C6 transverse process.

Figure 2
A 64-year-old female with C6 radiculopathy showed pain reduction with a visual analogue scale of eight before the procedure to three at postoperative 12 weeks. (A, B) Anteroposterior and lateral X-rays show narrowing of C5/6 disc space. (C) Sagittal T2-weighted image: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s disc herniation (soft disc). (D) Ultrasound-guided selective nerve root block (target nerve root was left C6). The arrowheads, point to the needle; P, posterior tubercle of the C6 transverse process; A, anterior tubercle of the C6 transverse process.

퇴행성 골극으로 인한 신경공 협착으로 확인된 46명과 연성 추간판 탈출증 27명을 대상으로 시술하고, 증상 발현 후부터 추시상 6주 후에도 통증의 호전이 50% 이상 없거나 경과 악화 시, 환자에게 수술을 추천하였고, 동의하였을 때 수술을 시행하였다. 50% 이상 호전이 있는 경우에서 환자가 원할 경우 2–3차례 추가 시술을 시행하였다. 시술의 효과 평가를 위해 시술 전, 시술 후 1주 및 시술 후 12주 때 통증의 호전 정도와 기능적 향상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시술 과정과 직후, 다음 날까지 발생한 부작용을 조사하여 시술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1년 이상의 마지막 추시를 통해 추가적인 시술이나, 수술 여부를 확인하였다.

2. 시술 방법

모든 초음파를 이용한 차단술은 한 명의 시술자에 의해 시행되었으며, 모든 환자에 대해 외래 상태에서 시행하였다. 초음파는 SEQUOIA 512 ultrasound system (Siemens)을 이용하여 시행하였으며 선형 탐촉자(linear probe)를 이용하였다. 시술 시 22-gauge epidural needle (Hakko Co. Ltd.)을 사용하였다. 환자를 측면으로 눕힌 자세로 경추의 위치 및 경동맥, 경정맥의 위치 확인 후 음파평면 내 술기(in-plane technique)로 경추부 측돌기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하여 신경근이 나오는 신경공 입구 부위를 목표로 주사하였고, 시술 위치(level) 결정은 임상 증상 및 신체 검사상 부합하는 위치(level)에서 시행하였다. 정확한 위치 확인 후 ropivacaine 3 ml, dexamethasone 1 ml, normal saline 2 ml를 섞어 희석한 혼합액(ropivacaine, 0.2%, Fresenius Kabi; dexamethasone, 5 mg/1 ml, YUHAN; Normal saline, Dai Han Pharm. Co., Ltd.)을 0.5 ml 주입한 후 1분간 두통, 어지러움, 과민반응 유무를 확인한 다음, 한 부위에 혼합액 총 2.5 ml를 주사하였다. 시술 후 30분간 환자를 앙와위로 눕힌 뒤 혈압, 맥박 등을 모니터링하고, 부작용에 대한 증상을 확인하였다.

3. 차단술 후 결과 판정

시술 전, 시술 후, 시술 후 3개월에서 시각통증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를 검사하였으며, 시술 전, 시술 후 3개월에 NDI를 면담검사하였다. 초기 통증의 정도는 100%로 고정하여 차단술 후 통증의 감소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초기 통증의 50% 이하로 감소하였을 때를 의미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고, 50% 미만이 감소된 경우를 효과가 없음으로 판단하였다. 1차 시술 후 증상이 재발한 경우 재시술을 2–3주 이내에 시행하고, 2차 시술에도 증상 호전이 없는 경우는 수술적 치료로 전환하였다. 수술적 치료를 원치 않고,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에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및 Pregabalin 25 mg을 처방하였다. 마지막 추시 시 외래 면담이나 전화 통화를 통해, 증상의 재발 시점 평가와 수술적 치료 여부를 판단하였다.

연속성 변수인 나이에 대해서는 Mann–Whitney U-test를 사용하였고, 성별, 수술 이외 추가 치료, 시술 후 증상 악화, 시술 후 수술 여부 등의 범주형 변수에 대해서는 chi-square test, Fisher’ sexact test를 사용하였다. 두 집단의 시술 전, 시술 후 1주 및 시술 후 12주 시점의 VAS, NDI는 independent t-test를 사용하였다. 통계학적 유의 수준은 p-value가 0.05 미만인 값을 유의한 것으로 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IBM SPSS ver. 24.0 (IBM Corp.)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결과

두 군 간의 비교에서 퇴행성 경추 골극에 의한 방사통 환자군과 연성 추간판 탈출증 환자군에서 평균나이는 65.92±10.8세, 56.59±10.8세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성별, BMI, BMD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1).

퇴행성 경추 골극에 의한 방사통 환자군에서 통증호전은 시술 전 6.16±1.22점, 시술 후 1주 3.10±2.12점, 시술 후 12주 2.80±1.91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NDI도 시술 전 16.95±8.90점, 시술 후 1주 7.22±7.90점, 시술 후 12주 7.50±7.50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Table 2, Fig. 3). 시술 후 50% 이상의 통증 완화 효과가 없던 환자는 11명(23.9%)이었으며, 시술 후 증상의 재발 및 악화된 환자수는 19명(41.3%)으로 증상 재발현 시점은 평균 17.41±27.18주로 나타났다. 또한 경추 전방고정술(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ACDF)을 시행한 환자는 5명(10.9%)이었다(Table 3, Fig. 4).

Figure 3
(A) Improved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after the ultrasound (US)-guided selective nerve root block. (B) Improved neck disability index (NDI) score after the US-guided selective nerve root block. OP, operative.

Figure 4
Ineffectiveness or recurrence after the ultrasound-guided selective nerve root block. ACDF,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Table 2
Improved Score of the VAS and NDI after Ultrasound-Guided Selective Nerve Root Block

Table 3
Ineffectiveness or Recurrence after Ultrasound-Guided Selective Nerve Root Block

연성 추간판 탈출증 환자군에서 통증호전은 시술 전 6.31±1.58점, 시술 후 1주 3.00±1.71점, 시술 후 12주 2.79±1.51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NDI도 시술 전 14.35±7.80점, 시술 후 1주 4.76±4.50점, 시술 후 12주 4.82±4.08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Table 2, Fig. 3). 시술 후 50% 이상의 통증 완화 효과가 없던 환자는 3명(11.1%)이었으며, 시술 후 증상의 재발 및 악화된 환자수는 9명(33.3%)으로, 증상 재발현 시점은 평균 11.65±30.94주로 나타났다. 또한 ACDF를 시행한 환자는 1명(3.7%)이었다(Table 3, Fig. 4).

시술 중 과민반응이나 의식소실, 활력징후 변화 등 중대한 부작용은 없었으며, 시술 후 3예에서 일시적인 두통, 2예에서 어지럼증 등의 가벼운 부작용은 보였으나, 모든 경우 침상안정으로 호전되었으며, 시술 다음 날까지 지속되는 부작용은 없었다.

두 군에서 신경차단술로 통증의 완화를 확인할 수 있었고, 12주까지 경과관찰에도 증상 완화가 확인되었다. 다만 두 군 사이에 증상의 재발이나, 수술을 시행한 환자 수에는 차이가 있었다. 퇴행성 경추 골극에 의한 방사통 환자 중 12명의 환자에서 통증이 재발하여도 다시 차단술을 통해 수술적 치료를 피하였고, 약 90%의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를 하지 않고, 보존적 치료로 유지하고 있었다.

고찰

경추 부위 골극은 중년 이상의 경부통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에서 일반적인 방사선적 소견이며, 골극은 일반인의 25% 정도에서 65세 이상에서는 75% 이상에서 볼 수 있다.7) 특히 구추관절 내 골극은 신경공(neural foramen)을 줄이는 주요 원인으로 경부통증과 해당 분절의 피부 지배영역에 따라 상지 방사통을 유발할 수 있다. 퇴행성 경추증에 의한 방사통의 자연경과는 3년 이내 83%에서 회복된다고 하였고, 4–6개월 내 대개 호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8) 그러나, 퇴행성 경추 방사통의 원인은 추간공 협착 외에도 해당 분절의 불안정성이나 퇴행성 추간판 탈출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상황에 따른 경과가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해당 분절의 불안정성으로 판단된 환자에서, 신경근차단술을 시행하고 경과를 관찰하였으나, 대부분의 경우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퇴행성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추간공 협착증은 구추관절의 골극으로 더욱 심해진다. Hirai 등9)은 경추 추간공의 가로길이와 골극의 여부가 퇴행성 경추 방사통 발생과 연관성이 있다고 발표하였다. 추간판 탈출에 의한 신경근 압박과 퇴행성 변화로 인한 골극에 의해 추간공 협착에 의한 방사통은 통증의 예후와 재발 빈도, 신경근차단술 후 경과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초음파를 이용한 차단술 후 경과에서, 연성 추간판 탈출증과 통증호전의 정도나 3개월 추시상에서 통증유지상태를 확인하였을 때 유의미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으나, 비교적 차단술에 반응이 없는 환자의 수가 많고, 재발하는 환자의 수도 많았으며, 수술로 가는 경우가 많았다.

경추 신경공 경막외 주사요법(cervical transforaminal epidural injection)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에서 총 30개의 주요 합병증(brain or cervical cord infarction)을 보고하였고, 그 원인을 혈관내 주사약물에 의한 원위 동맥 색전(distal artery embolization)으로 보았다.10) 스테로이드(steroid) 특히 betamethasone, triamcinolone과 같은 입자성 스테로이드(particulated steroid)가 혈관내 주사(intravascular injection)되어 미세혈관 내 혈전(microvascular embolization)을 유발하였고, 척수손상이나 뇌경색 등의 중증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10)고 하여 현재는 비입자성 스테로이드(non-particulated steroid)를 쓰거나 스테로이드를 제외하고 쓰도록 하고 있다.11) 부분마취제인 ropivacaine은 아미드(amide)계열로, 운동 신경섬유보다 감각 신경섬유를 차단하여, 다른 부분마취제로 인한 부작용을 개선한 약제이며,12) 특히, dexamethasone을 혼합 주입 시 신경 차단 효과를 늘린다.13) 그러나, 혈관수축(vasoconstriction) 작용, 심독성(cardiotoxicity) 및 신경 독성(neurotoxicity) 등의 부작용을 가지므로, 주사 주입 시 및 후의 부작용에 대한 면밀한 관찰을 요한다.14) 본 연구에서는 ropivacaine 0.2%의 제재를 0.1%로 희석 후 저농도로 사용하여 안전성이 확보되었다.15) 이외에도 바늘에 의한 혈관연축(vasospasm)이 척수 경색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하였고, 이로 인해 여러 합병증도 언급되고 있다.5, 16) Jee 등6)은 초음파를 이용한 경추 신경공 경막외 주사요법 시, 주사 바늘 주위의 혈관을 초음파 도플러 영상으로 미리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혈관내 주사를 피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전 연구에서도 초음파를 이용한 신경근차단술의 주요 합병증 발생율을 0%였으며17), 이번 연구 결과에서도 비입자성 스테로이드인 dexamethasone의 사용과 초음파 도플러 영상을 이용한 경추 신경공 경막외 주사요법은 중대한 합병증 없이 안전한 결과를 보였다.

초음파를 이용한 경추 신경근차단술은 기존의 방사선을 이용한 방법에 비해, 공간적 제약이 적고, 방사선 조사를 피할 수 있으며, 신경근까지 바늘이 접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조영제를 사용한 영상검사를 시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주사 여부를 확인할 수 없으며, 초음파의 도플러로 확인할 수 없는 미세혈관내 약물주사를 피하기 어렵다. 정확한 신경근 주변에 주사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기존방법인 경추 신경공 후방돌기를 목표로 하지 않고, 후방돌기가 확인되는 면에서 좀 더 상방으로 탐촉자(probe)를 이동하여 후방돌기가 사라지며, 신경근이 확인되는 초음파면에서 신경근을 목표로 바늘을 위치하였다. 또한 주사를 시행할 때, 0.5 ml 정도의 시험 주사 후에 환자와 대화를 통해 혈관내 주사에 의한 반응(어지러움증, 입 안에 약물냄새 등)을 확인하고, 20–30초 후에 나머지 약물을 주사하였다. 초음파 차단술을 시행한 모든 군에서 시술 중 혈관내 주사로 인한 이상 반응인 척수경색, 뇌경색과 같은 부작용 및 혈관수축 작용, 심독성, 신경 독성으로 인한 부작용 또한 없었다.

경막외 주사의 약물 조합의 선택은 안정성과 그 효과를 고려하였다. Park 등4)은 퇴행성 경추증에 의한 방사통에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군과 사용하지 않은 군의 3개월간 추시상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 반면에 요추 방사통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신경근 주변 주사에서 스테로이드가 초기의 수술률을 떨어뜨리고,18) 약 2주 추시상에서 부분마취제보다 우수한 방사통 제어 효과를 보였으며,19) 요추부 협착증보다는 요추부 추간판 탈출증에서 부분마취제 그룹과 비교하여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는 연구가 있었다.20) 항염증효과21)와 신경막 안정효과 및 C-fiber의 탈분극 억제22) 효과들이 신경근 주변 자극을 억제하여 진통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비입자성 제재인 dexamethasone을 혼합하여 주사하였다.

본 연구는 여러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로 적은 모집단을 대상을 한 후향적 연구로 이 연구 결과를 일반적인 결과로 보기 어렵다. 둘째, 상지 방사통과 NDI만을 측정지표로 사용하였으며, 축성 경부통증에 대한 평가는 없었다. 다만 상지 방사통에 대한 VAS 평가 시, 환자의 답변이 상지 방사통 외에도 경부통증의 요소를 포함한 결과로 생각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검사의 한계가 있었으나, 경추부 신경근병증이 있는 환자에서 환자의 증상과 MRI의 일치도만으로 진단하는 것은 진단의 정확도가 낮을 수 있어, 추가적으로 근전도/신경전도검사(electromyogram/nerve conduction velocity) 등을 시행한다면 명확한 진단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시술 전과 후로 각 환자의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약물을 병용 투약하였고, 이에 따른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후향적인 연구 방법으로 시행되어 경구 약물 투약 환자 제외 시 모집단의 수가 더 적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전향적이며 모집단의 수를 더 늘려서 시행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

퇴행성 경추 골극에 의한 방사통은 초음파를 이용한 신경근차단술 시 연성 추간판 탈출증과 비교하여 효과가 없는 경우가 많으며, 재발률과 수술의 비율이 높았다. 하지만, 비가역적인 퇴행성 질환이란 점을 고려하였을 때, 비교적 유의한 만성 통증완화 결과를 보였으며, 통증완화는 연성 추간판 탈출증과 비교하여도 효과가 뒤쳐지지 않았다. 또한 합병증의 빈도가 매우 낮아, 퇴행성 경추 골극에 의한 방사통이 의심될 경우 외래에서 손쉽게 적용해 볼 수 있는 좋은 보존적 요법 중 하나로 보인다.

Notes

CONFLICTS OF INTEREST: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References

    1. Wong JJ, Côté P, Quesnele JJ, Stern PJ, Mior SA. The course and prognostic factors of symptomatic cervical disc herniation with radiculopathy: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Spine J 2014;14:1781–1789.
    1. Sampath P, Bendebba M, Davis JD, Ducker T. Outcome in patients with cervical radiculopathy.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with independent clinical review. Spine (Phila Pa 1976) 1999;24:591–597.
    1. Dillin W, Booth R, Cuckler J, Balderston R, Simeone F, Rothman R. Cervical radiculopathy. A review. Spine (Phila Pa 1976) 1986;11:988–991.
    1. Park EJ, Kim SM, Chung S, Min WK. Clinical outcomes of cervical transforaminal epidural block using local anesthetics with or without a steroid for cervical spondylotic radiculopathy. J Korean Soc Spine Surg 2020;27:115–124.
    1. Manchikanti L, Falco FJ, Diwan S, Hirsch JA, Smith HS. Cervical radicular pain: the role of interlaminar and transforaminal epidural injections. Curr Pain Headache Rep 2014;18:389
    1. Jee H, Lee JH, Kim J, Park KD, Lee WY, Park Y. Ultrasound-guided selective nerve root block versus fluoroscopy-guided transforaminal block for the treatment of radicular pain in the lower cervical spine: a randomized, blinded, controlled study. Skeletal Radiol 2013;42:69–78.
    1. Goel A, Vaja T, Shah A, et al. Outcome of osteophytes after only-fixation as treatment for multilevel cervical spondylosis-a minimum of 12 months follow-up. World Neurosurg 2021;146:e876–e887.
    1. Kuijper B, Tans JT, Schimsheimer RJ, et al. Degenerative cervical radiculopathy: diagnosis and conservative treatment. A review. Eur J Neurol 2009;16:15–20.
    1. Hirai S, Kato S, Nakajima K, et al. Anatomical study of cervical intervertebral foramen in patients with cervical spondylotic radiculopathy. J Orthop Sci 2021;26:86–91.
    1. Scanlon GC, Moeller-Bertram T, Romanowsky SM, Wallace MS. Cervical transforaminal epidural steroid injections: more dangerous than we think? Spine (Phila Pa 1976) 2007;32:1249–1256.
    1. Kim DH, Song KS. Considerations for fluoroscopic guided intervention in lumbar spine. J Korean Orthop Assoc 2020;55:210–221.
    1. McLure HA, Rubin AP. Review of local anaesthetic agents. Minerva Anestesiol 2005;71:59–74.
    1. Chen Y, Wu J, Xu J, Chen Y, Huang C. A bioinformatics study of ropivacaine plus dexamethasone prolonging the duration of nerve block. Comput Intell Neurosci 2022;2022:5869103
    1. Knudsen K, Beckman Suurkula M, Blomberg S, Sjövall J, Edvardsson N. Central nervous and cardiovascular effects of i.v. infusions of ropivacaine, bupivacaine and placebo in volunteers. Br J Anaesth 1997;78:507–514.
    1. Ahilasamy N, Dinesh Kumar R, Nayagam HA, Shanmuganandam O, Vaibhavi KR, Modak V. Ropivacaine: a novel local anaesthetic drug to use in otorhinolaryngology practice. Indian J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21;73:267–270.
    1. Ludwig MA, Burns SP. Spinal cord infarction following cervical transforaminal epidural injection: a case report. Spine (Phila Pa 1976) 2005;30:E266–E268.
    1. Kang HS, Kim CS, Kwon YH. The effectiveness of ultrasound-guided selective nerve root block for the treatment of radicular pain in the lower cervical spine: an assessment of sustainability and side effects. J Korean Orthop Assoc 2018;53:166–173.
    1. Riew KD, Yin Y, Gilula L, et al. The effect of nerve-root injections on the need for operative treatment of lumbar radicular pain. 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double-blind study. J Bone Joint Surg Am 2000;82:1589–1593.
    1. Karppinen J, Malmivaara A, Kurunlahti M, et al. Periradicular infiltration for sciatic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pine (Phila Pa 1976) 2001;26:1059–1067.
    1. Tafazal S, Ng L, Chaudhary N, Sell P. Corticosteroids in peri-radicular infiltration for radicular pain: a randomised double blind controlled trial. One year results and subgroup analysis. Eur Spine J 2009;18:1220–1225.
    1. Lee HM, Weinstein JN, Meller ST, Hayashi N, Spratt KF, Gebhart GF. The role of steroids and their effects on phospholipase A2. An animal model of radiculopathy. Spine (Phila Pa 1976) 1998;23:1191–1196.
    1. Johansson A, Hao J, Sjölund B. Local corticosteroid application blocks transmission in normal nociceptive C-fibres. Acta Anaesthesiol Scand 1990;34:335–338.

Metrics
Share
Figures

1 / 4

Tables

1 / 3

PERMALINK